풀소스는 여기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실습은 Eureka 설정이다. Eureka를 간단히 말하자면 연결된 서버들의 생사 체크도 해서 레지스트리로 관리하고 서버가 죽었으면 서비스에서 제외하는 load balancing 역할을 하는 거다. 여기서 각 클라이언트들은 또 서버가 되서 다른 연결된 서버들을 클라이언트 삼을수도 있다. 링크 나는 여...
SSL offload 란..?
요즘은 부하분산의 중요성을 많이 느낀다. 물론 고리쩍부터 중요했겠지만 나한텐 이제야 와닿았잖아요..? 이번에 네트워크 작업을 하면서 ssl offload 작업을 했다. ssl offload 는 단순히 말하자면 외부 -> L7 -> 내부 로 두 번의 연결과정에서 모두 ssl 인증 거치는데 발생한느 부하를 줄이고자 외부 -> ...
SNAT 과 DNAT
네트워크 공부는 끝이 없다. 기본 지식이 없으니까 나는 공부할 게 넘쳐난다네~~~~ 팀 업무 중에는 네트웍 작업을 하면 서비스 체크를 해야하는데 진땀 한번 뺐다 ㅠ 지난 주말에 서비스 체크를 하는데 잘 되던 기능이 안되는거 아닌가..? 그래서 여기저기 물어서 찾아보니까 네트워크 작업을 하면서 SNAT 으로 작동해서 내 서비스의 아이피를 연동 ...
MAC 에서 포트 죽이기 !
내 인생 최초로 맥북을 사서 사용하려니까 이것저것 외워야 할 단축키며 명령어가 너무 많다 ^^ 나 요즘 완전 인간 고라파덕 ^^…. 너무 간단하지만 몰라서 찾아봤던것중에 하나는 포트 죽이기다. 스프링 부트 실습하는데 자꾸 포트 사용중이라고 하니까..ㅎㅎ.. 커맨드창에서 1) lsof -i : 포트번호 2) kill -9 pid 번호 하면 된다....
실습 with spring boot Netflix OSS 공공api 2 - Hystrix circuit breaker
풀소스는 여기 에서 확인할 수 있다. circuit open 실습은 전 소스 + 아주 조금 수정으로 간단히 해볼 수 있다. 1) 우선 @EnableHystrix -> @EnableCircuitBreaker 로 바꾼다. @EnableCircuitBreaker //circuit breaker @Service public class sear...
실습 with spring boot Netflix OSS 공공api 1 - Hystrix fallback
풀소스는 여기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아주 기본적으로 짜서 돌아는 가는걸 확인하려고 한다. 첫번째로는 가장 간단해보이는 특정 요청 실패시 fallback 메소드 실행이다. 정말 간단하게 해보고자 나는 컨트롤러 , 서비스 하나씩만 만들고 공공 api 사용해서 정상 응답일때/ fallback 일때를 보여주기로 했다 :) 사용한 공공 api 노...
MSA 공부 시작 - 11번가 spring cloud 기반 MSA 로의 전환 정리
이번에 회사사람들과 MSA 관련 스터디를 하기로 했다. 첫번째로는 이 영상 을 보고 얘기를 나눠 보기로 했다. 영상을 보고 정리 겸 올려본다. 1) 모놀리식 시스템 vs MSA 모놀리식 시스템은 시스템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통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당연하게도 MSA 는 요소요소들을 하나씩 쪼개서 분리해놓은 것이고.. 출처- Introdu...
19-12-03 이 주의 테크 고민거리- 스마트시티와 개인정보 침해
주에 한 번 정도 최신 테크 기사를 몇개 읽고 시사점에 대해 생각 정리를 해봐야겠다. 주로 관심있는 분야에 대해서 할거니까 스마트시티나 3d map 관련된 기사로 준비해야지. :: 19/12/03 이 주의 테크 고민거리 - 스마트시티와 개인정보침해 1) 포브스 기사 - How Data Will Fuel Smart Cities 기사 세줄 요약...
SSL 인증
회사 내부 시스템 운영하는 일을 하다보니, 처음 세팅할때 인증서 오류 관련된 내용을 자주 접한다. SSL 인증에 대해서 정리하고 넘어가야징ㅎㅎㅎ 참고 SSL 은 프로토콜 이름, Https 는 SSL 프로토콜 위에 돌아가는 프로토콜 SSL 인증서는 두 가지 기능을 한다. 클라이언트가 연결하려는 서버가 클라이언트가 맞는지 인증 클라이언...
L4 와 L7 차이점
네트워크 관련된 문제를 마주할때마다 늘 나오는 단어들이 있다. L7, L4 ! 솔직히 어렴풋이는 알지만 너무 헷갈려. 이해했다가도 돌아서면 까먹는다. 그래서 정리를 한번 해봐야지. 🤠 :baby: L4, L7 이 뭔데? L 은 loadbalancer 를 뜻한다. 서버의 부하를 분산시키기위해서 여러대의 서버를 두고 그 서버들한테 어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