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19-12-03 이 주의 테크 고민거리- 스마트시티와 개인정보 침해
Post
Cancel

19-12-03 이 주의 테크 고민거리- 스마트시티와 개인정보 침해

주에 한 번 정도 최신 테크 기사를 몇개 읽고 시사점에 대해 생각 정리를 해봐야겠다.
주로 관심있는 분야에 대해서 할거니까 스마트시티나 3d map 관련된 기사로 준비해야지.

:: 19/12/03 이 주의 테크 고민거리 - 스마트시티와 개인정보침해

1) 포브스 기사 - How Data Will Fuel Smart Cities

기사 세줄 요약 ! !

  • 스마트 시티 시범 운영중인 곳들을 보니, 여기서 대용량 데이터 수집해서 분석하니 자원이 얼만큼 필요한지 예측하는 것뿐만 아니라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더 많은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 수집된 데이터의 ownership을 누가 가져가느냐에 대한 의견분쟁들이 있지만 sidewalk 에서 토론토랑 협약 맺어서 하는 시범 사업에서는 여기서 수집하는 데이터를 공공 자산으로 삼겠다는 조항이 들어있다.
  • 지금은 이런 데이터들과 이를 사용하는 기술들의 진보로 스마트 시티를 실현화하는 성장 변곡점이다.

    엄청나게 오바를 하면서 마치 스마트폰 나오기 직전 마냥, 스마트 시티 실현 직전인 것 같이 말하네 ㅎㅎ. 이 기사에서는 스마트 시티를 현실화하는데는 다양하고 방대한 데이터 수집이 가장 큰 역할을 한다고 말한다. 물론 나도 공감한다. 데이터가 늘어나고 다양한 분야에서 이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면 그렇게 난리치는 커넥티비티 어쩌구 이런거 아닌가.

    하지만 여기서는 수집된 데이터를 공공 자산으로 협약한 sidewalk-토론토의 예시로 개인정보침해에 대한 의견은 스무스하게 넘어간 경향이 있다. 나도 예전엔 기술의 발전은 곧 나의 편의성 증대로 이어질테니까 내 정보를 수집하는데 크게 거부감이 없었다. 하지만 요즘은 무슨 앱 하나만 깔려고 해도 도저히 어디에 사용될지도 모르는 정보 수집 권한이 필요하고, 나를 타켓팅한 맞춤 광고들은 편리를 넘어서 공포스러울 정도다.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 어디까지 개인정보를 제공해야하는가, 어느 선까지 공공을 위한 정보 제공이라고 볼 수 있는지 기준을 마련해야할 것 같다. 나라별, 주 별로 다른 기준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면 그게 진정한 기술 발전에 도움이 되는 데이터라고 할 수 있을까? 그렇다면 하나의 통일된 기준 규격을 위해서는 어떤 토론이 필요하고 어떤 단체가 주관하는걸까 궁금해졌다. 분명히 논의를 안하는건 아닐텐데…. 말로만 관심있다고 해왔지만 실체화되기 위한 준비 단계들에는 관심을 가지지 않았었네. 이런 기사들을 찾아 읽어봐야겠다.

2)Quartz 기사 Smart cities will always have a data privacy problem

기사 요약 !!

  • 스마트시티에는 데이터 수집이 중요한데, 여기에는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의견분쟁이 있다.
    (Privacy paranoia, or surveillance capitalism?)
  • 도시 생활하면서 수집되는 정보는 앱처럼 특정 부분은 정보제공 동의하고 말고 선택하기 어렵기에 합의점을 찾기 더 어려운 문제다. 그렇다고 특정인 지목할 수 있는 정보 지우면 활용 데이터가 손상된다.
  • 현재 법령들은 기술 발전 이전의 항목들이기에 조정될 필요가 있고, 여기에는 시민들의 참여가 필요하다.

    이 기사에서는 데이터 수집시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해서, 시민의 참여와 토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현실적으로 고민해봐야할 문제임은 분명하고 토론토에서의 프로젝트처럼 새로운 길을 열어가는 기업, 정부, 도시 시민들이 어떻게 합의점을 찾을지가 중요하겠지.

     이런 기사를 읽으면 토론토 시민들이 부러워지기도 하지만, 서울에서 일어나는 변화들에 대해서 내가 무관심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분명히 서울에서도 정보 수집을 통해 도시 적용할 솔루션을 열심히 만들고 있을텐데 너무 무관심했다. 멀리 있는 사례만 바라보지 말고 주변을 좀 살펴야겠다.

     오늘의 반성 끝 !! 😥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