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무료고, 설치가 간단해서 VS Code 를 사용중이긴 한데 여러 기능을 사용하진 않았다.
그냥 Exercism 문제 푸는데나 활용하고 말았지.
근데 블로그 글을 markdown 으로 쓰고, 또 git 으로 관리하다보니까 이런 저런 기능늘이 필요해서 여러개 들쑤셨는데
알고보니 VS Code 에서 다 제공하는 기능이지 뭔가 ㅠㅠㅠ.
역시 사람은 도구를 활용해야한다.
미세먼지같은 VS Code 팁~~~
1. markdown preview
마크다운으로 글을 작성하다 보면, 퍼블리싱 했을때 어떻게 보일지 몰라서 몇번이나 수정하곤 했다.
그래서 stackedit 같은 온라인 마크다운 에디터를 사용했는데, vs code에서 이미 다 제공하는 기능이었다 ㅎㅎ
ctrl + shift + v로 markdown preview 창 열 수 있음 !
2. GIT 사용한 소스 관리
나는 여태까지 그냥 git bash 로 커맨드 창에서 해결해왔는데, vs code 내의 source control 사용해서 하니까 훨씬 간단하고 직관적이다. remote 설정한 로컬의 레파지토리 내에서 블로그 글 수정하고 사이드바를 보면 source control 에 변경사항 기록된 것 확인할 수 있다.
변경사항을 클릭하면 compare 창 나타나서 어떻게 수정됐는지도 확인할 수 있다. stage 로 바로 올리고 싶으면 changes 옆으로 마우스를 올리면 , + 기호 보인다. 이걸 누르면 바로 staged 된다.
그리고 커밋 메세지 입력하고 ctrl+enter 누르면 바로 커밋된다.
push 는 … 메뉴 클릭 후 push 하면 된다 ! 너무 간단해부러,,,
이건 내가 참고한 블로그에 정말 잘 정리되어 있다. ^^